펨토바이오메드 기업개요 및 현황
펨토바이오메드 기업 개요 - 미국에서 셀샷 원천 특허 등록
- 동사는 2011년 7월 설립되어 자유계면 정밀분석기기를 판매 중에 있으며, 항암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2012년 11월 펨토초 레이저 삼차원 나노가공설비를 구축하였으며, 2018년 11월 미국에서 셀샷 원천 특허를 등록,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였음.
- 핵심 기술인 셀샷은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레이저로 가공한 나노유리 주사기를 활용해 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주입하는 세포치료제 제조공정 기술임.
펨토바이오메드 기업정보
- CEO - 이상현
- 상장일 - 2019-07-10
- 업종 - CellShot 플랫폼 / CellShot 기반 항암백신치료 제품군 / CellShot 기반 자가면역질환치료 제품군 / CellShot 기반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주 제품군
- 유형 -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 종목코드 - 327610
- 홈페이지 - http://www.femtobiomed.com
펨토바이오메드 공시정보
다음은 펨토바이오메드의 최근 공시현황 정보 입니다.
날짜 | 공시내용 |
2020-11-27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기업설명회(IR) 개최 결과 |
2020-11-24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특허권 취득(자율공시) |
2020-11-13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기업설명회(IR) 개최 |
2020-11-06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특허권 취득(자율공시) |
2020-10-27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행사) |
2020-08-27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정정)기업현황보고서 |
2020-08-19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정정)기업설명회(IR) 개최 |
2020-08-14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기업설명회(IR) 개최 |
펨토바이오메드 연혁정보
다음은 펨토바이오메드의 연혁 정보 입니다.
날짜 | 연혁내용 |
2019-07-00 | 코넥스 상장 |
2019-06-00 | 김연준 사외이사 사임 |
2019-05-00 | 명의개서 사무이관 |
2019-05-00 | 정완균 사외이사 취임 |
2019-04-00 | 지정자문인 선임(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
2019-03-00 | 명의개서대리인 선임(주식회사 KB국민은행) |
2019-02-00 | 시리즈 B 투자 유치 완료 |
2018-12-00 | NET 인증(동적 계면의 초고속 영상 분석 기반 미량 혈액 점도 측정 기술) |
펨토바이오메드 투자 정보(2020-12-07 기준)
다음은 펨토바이오메드 기업의 현재 투자 정보 내역 입니다.
상장주식 | undefined | 액면가 | undefined |
자본금 | undefined | 결산월 | undefined |
현재가 | 거래량 | ||
전일대비 | 전일대비 | ||
등락률 | 거래대금 | ||
시가 | PBR | ||
고가 | PER | ||
저가 | EPS | ||
전일종가 | 시가총액 | ||
52주최고 | 외인보유 | ||
52주최저 | 외인비율 |
펨토바이오메드 거래원별 투자현황 TOP 5
다음은 거래원별 투자 매수 매도 내역입니다.
매수상위 | 수량 | 매도상위 | 수량 |
외국인 합계 | 외국인 합계 |
펨토바이오메드 외국인 비율 투자동향
날짜 | 종가 금액 | 전일대비 | 외국인 매매 | 기관 매매 |
펨토바이오메드 차트현황
아래의 이미지는 현재 펨토바이오메드 주가의 차트를 나타낸 것 입니다. 단기, 중기, 장기적인 차트이며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펨토바이오메드 주가의 금일 고가는 원이며, 저가는 원 이고 등락률은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 바랍니다
펨토바이오메드 1일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3일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180일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1년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3년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5년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10년 주가
펨토바이오메드 일봉
펨토바이오메드 주봉
펨토바이오메드 월봉
펨토바이오메드 주가 전망 투자 의견
- 외형 축소, 손실 확대
- 스마트드롭을 통해 매출의 100%가 발생하는 가운데 국내 매출 감소로 싱가포르향 수출 발생에도 외형은 전년대비 큰 폭 축소.
- 원가율의 상승과 경상연구개발비 및 지급수수료, 주식보상비용 등 판관비가 매출액의 10배 이상 달하는바 영업손실 및 순손실은 전년대비 확대.
- 고령화 및 환경오염 등으로 암환자가 확대되는바 항암제 수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형 성장 및 수익 개선은 지연될 듯.
댓글